눈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와 눈의 종류
눈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와 눈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눈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모든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눈은 크기와 습도에 따라 가루눈, 함박눈, 싸리눈, 우박, 진눈깨비 등 다양합니다.
눈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
빛의 산란 때문
눈은 작고 복잡한 얼음 결정들이 모여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얼음 결정들은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프리즘이 빛을 여러 색깔로 분산시키듯, 눈 결정들도 빛을 다양한 각도로 흩어버립니다.
이렇게 흩어진 빛들이 우리 눈에 들어오면서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모든 색깔의 빛 반사 때문
눈 결정들은 모든 색깔의 빛을 흡수하지 않고 대부분 반사시킵니다.
우리가 보는 흰색은 모든 색깔의 빛이 섞여서 나타나는 색깔입니다.
눈 결정들이 모든 색깔의 빛을 골고루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하얗게 보이는 것입니다.
유사 사례
투명한 유리를 가루로 만들면 하얗게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유리 자체는 투명하지만, 가루로 만들면 빛이 유리 입자들에 부딪혀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눈의 종류
가루눈
매우 작고 가벼운 눈 결정으로, 바람에 쉽게 날립니다.
함박눈
크고 무거운 눈 결정으로, 습도가 높을 때 주로 내립니다.
싸라기눈
빗방울이 얼어서 만들어진 작고 단단한 얼음 알갱이입니다.
진눈깨비
비와 눈이 섞여 내리는 현상으로, 겨울철에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습설
습도가 높아 서로 엉겨 붙는 눈으로, 같은 양의 눈이 내려도 습기가 높아 매우 무거운 눈입니다.
건설
습도가 낮아 서로 잘 뭉쳐지지 않는 눈입니다.
우박
뇌우 속에서 얼음 알갱이가 여러 번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커진 것으로, 여름철에 주로 내립니다.
이상으로 눈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와 다양한 눈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겨울철 상징인 눈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