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가 뭐지?
24절기라는 것이 달력 중간중간 기록되어 있습니다.
입춘, 하지, 동지 이런 용어들이 대표적으로 보입니다.
이런 절기가 왜 달력에 표기되어 있는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24절기 유래
24절기는 중국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기후의 변화 파악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당시 달의 움직임을 표시한 음력으로는 날짜를 파악할 수는 있었지만 기후의 변화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태양의 움직임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고 합니다.
2. 24절기의 개념
농사를 짓기 위한 기후 파악이 필요했습니다.
24절기는 태양의 1년 동안의 움직임을 24개로 나눈 것입니다.
결론은 24절기라는 것이 태양의 움직임, 즉 양력에 맞춘 날짜라는 것입니다.
3. 24절기는 양력 날짜
음력 날짜가 아니냐고 하시는 분이 많은데 양력입니다.
원래 중국 실정에 맞춘 것이라 우리 기후와 조금 안 맞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음력 날짜가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하게 합니다.
더군다나 이상 기후 현상까지 생겨 이런 생각을 더 하게 합니다.
4. 24절기 날짜와 의미
봄
- 입춘 2월 4일 봄이 시작되는 날
- 우수 2월 19일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싹이 트는 시기라고 합니다.
- 경칩 3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는 날. 이날 개구리나 도룡뇽 알을 건져다 먹으면서 건강을 빌었다고 합니다.
- 춘분 3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이날 날씨로 그해 농사의 풍년 여부를 점쳤다고 합니다.
- 청명 4월 5일 봄 농사를 준비하는 날. 하늘이 맑아진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날은 농사지을 땅을 고르고 나무를 심으며 집 수리도 했다고 합니다.
- 곡우 4월 20일 농사비가 내리는 날. 볍씨를 담가 본격적으로 농사를 시작합니다. 그해 더위를 피할 수 있다고 해서 곡우날 비가 오면 비를 맞았다고 합니다.
여름
- 입하 5월 6일 여름이 시작되는 날
- 소만 5월 21일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는 날. 만물이 가득 차는 날입니다. 모내기 준비를 하는 날입니다.
- 망종 6월 6일 곡식의 씨를 뿌리는 날. 모내기를 하는 날입니다.
- 하지 6월 21일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농사 일이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 소서 7월 7일 여름 더위가 시작하는 날. 작은 더위란 뜻으로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됩니다.
- 대서 7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한 날. 큰 더위란 뜻입니다. 가장 더위가 심한 시기입니다.
가을
- 입추 8월 8일 가을이 시작되는 날. 곡식이 여무는 시기입니다.
- 처서 8월 23일 일교차가 커지는 날. 더위가 그치는 날이라고 합니다.
- 백로 9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 추분 9월 23일 낮보다 밤이 길어지는 날. 이날 가을걷이를 합니다.
- 한로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히는 날. 찬 이슬이 맺힌다는 뜻입니다. 추수를 끝내야 하는 시기입니다.
- 상강 10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서리가 내리는 날입니다. 추수 마무리를 하면서 겨울 준비를 하는 시기입니다.
겨울
- 입동 11월 8일 겨울이 시작하는 날. 무와 배추를 수확해 김장을 합니다.
- 소설 11월 22일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날. 첫눈이 내리는 날입니다. 이날 제대로 추워야 보리 농사가 잘됐다고 합니다.
- 대설 12월 7일 눈이 많이 내리는 날.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입니다.
- 동지 12월 22일 연중 밤이 가장 긴 날. 이날 팥죽을 먹으면서 액을 막았다고 합니다.
- 소한 1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날. 작은 추위라는 뜻입니다. 추위를 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 대한 1월 20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날.
5. 일부는 음력의 기준이 되기도
각 계절 별로 홀수 열이 절기, 짝수 열이 중기이며 중기는 음력 달의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면 봄의 우수가 두 번째에 있으니 음력 1월, 춘분이 네 번째에 있으니 음력 2월 이런 식입니다.
정리하면 우수는 음력 1월, 춘분은 음력 2월, 곡우는 음력 3월, 소만은 음력 4월, 하지는 음력 5월, 대서는 음력 6월, 처서는 음력 7월, 추분은 음력 8월, 상강은 음력 9월, 소설은음력 10월, 동지는 음력 11월, 대한은 음력 12월입니다.
지금도 농사에서 기후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그런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자연의 흐름을 파악한 지혜가 놀랍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