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 운전 방법 및 차량 관리 방법

비 오는 날 운전 방법 및 차량 관리 방법

비 오는 날 운전 방법 및 차량 관리 방법

비 오는 날 운전 방법 및 차량 관리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비 오는 날에는 평상시보다 20~50%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앞 차와의 거리도 충분히 두어야 하며 전조등은 반드시 켜도록 합니다. 침수되는 저지역은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비 오는 날 차량은 와이퍼, 타이어, 비상등 등을 점검하고 유막은 제거해 주도록 합니다.


1. 비 오는 날 운전 방법

속도 감속

비 오는 날에는 평상시보다 감속해야 합니다. 
비 오는 날에는 평상보다 20% 이상 감속
폭우가 내릴 때에는 평상보다 50% 이상 감속 주행

차간 거리 충분히 유지

수막 현상 때문에 앞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두어야 합니다.
수막 현상은 길 위에 물이 고여 미끄러짐 현상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수막 현상 때문에 제동 거리가 평상보다 길어집니다.
평상보다 1.5배 이상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조등 켜기

비가 오는 날은 평상보다 어둡습니다.
전조등을 켜서 상대와 본인의 차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저지대 침수 지역 주의

최근 폭우가 쏟아지면서 저지대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차량이 침수되는 등 위험을 초래합니다.
침수 지역에는 접근 금지하도록 합니다.


2. 비 오는 날 차량 관리 방법

와이퍼 작동 점검

비 올 때 와이퍼는 매우 중요합니다.
고장이 났거나 와이퍼 블레이드가 손상되었는지 미리 확인하도록 합니다.

유막 제거

유리에 기름으로 된 얇은 막이 끼는 것을 유막이라고 합니다.
유막이 있으면 시야가 흐리고 비가 오는 날 전방 시야를 방해하게 돼서 매우 위험합니다.
유막제거제 등을 이용해 유막을 제거해 주셔야 합니다.

타이어 상태 점검

비가 오는 날 타이어는 매우 중요합니다.
타이어가 도로 위를 달리면서 수시로 바퀴에 묻은 빗물을 타티어의 홈 사이로 빼게 됩니다.
이 홈이 마모가 심하면 물이 빠지지 않게 되어 차량의 미끄러짐을 유발하게 됩니다.
마모가 심하지 않은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비상등 작동 점검

폭우가 오면 비상듬을 점등해 본인 차량의 존재를 알려야 합니다.
이럴 때 비상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상등이 잘 작동하는지, 작동하지 않으면 수리하도록 합니다.
이상으로 비 오는 날 운전 방법과 차량 관리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참고하셔서 안전 운전하시길 빌겠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