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 비교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 비교

  • Post author:
  • Post category:문화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 비교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 비교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 비교해 보겠습니다. 두 후보는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로 다른 철학과 전략을 기반으로 공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공약 비교

아래는 주요 분야별 공약 비교표입니다

이재명 vs 김문수 공약 비교표

분야 이재명 후보 공약 김문수 후보 공약
경제 정책 – 반도체·AI 중심 산업 육성- 지역화폐 확대- 스마트도시 구축 – 기업민원수석 신설- 외국기업 우선 투자지원- 10대 신기술 국가전략
에너지/환경 – 탄소중립 기반 산업 전환 강조 – 원자력 발전 비중 60% 확대- 석탄 발전 비중 0% 목표
복지 정책 – 공공의료 강화- 사회적 기본권 확대 (복지 정책 비중 상대적으로 낮음)
청년/교육 – 디지털 교육 인프라 강화- 지역 대학 육성 –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연구자 정년 회복- PBS 제도 폐지
교통/인프라 – 스마트 도시 인프라 구축 – GTX 전국 확대
국방/안보 – 선택적 모병제 검토 – 공수처 폐지- 간첩 정의 확대- 국정원 대공 수사권 환원
정치/사법 개혁 – 대통령 집무실 이전 검토- 권력 구조 개편 –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선거제도 개편- 사법방해죄 신설
금융/자산 – (직접 언급 없음) – 가상자산 투자 제도화- 배당소득세 폐지- 경제사범 징벌 배상 도입
기조 슬로건 “먹사니즘 + 잘사니즘” (생활 밀착형 실용주의) “기업 성장 중심 국가 개조” (자유시장경제 기반 개혁)

 

이재명 후보의 주요 공약 정리

1. 경제 및 산업 정책

  • 반도체 산업 육성: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목표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AI 및 스마트 도시 구축: 인공지능 산업 육성과 스마트 도시 전략을 통해 첨단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계획입니다.
  • 지역화폐 확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2. 국방 및 병역 제도

  • 선택적 모병제 검토: 현행 징병제를 유지하면서도 병역 대상자가 단기 징집병과 장기 복무병 중 선택할 수 있는 제도를 검토 중입니다.

3. 사회 및 복지 정책

  • 공공의료 강화: 국민 건강권 보호를 위해 공공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 사회적 기본권 보장: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는 정책을 추진합니다.

4. 지역 균형 발전

  • 경기 북부 개발 및 평화경제특구 조성: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경기 북부 지역 개발과 평화경제특구 조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K-수도권 비전: 수도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5. 문화 및 콘텐츠 산업

  • 글로벌 K-콘텐츠 산업 육성: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산업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게 육성하려는 정책을 추진합니다.

6. 정치 및 권력 구조 개편

  • 대통령 집무실 이전: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권력 구조 개편: 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권력 구조의 개편을 추진합니다.

자세한 공약 내용은 더불어민주당 공식 홈페이지의 정책공약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의 주요 공약 정리

경제 및 산업 정책

  • 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 대통령실에 ‘기업민원수석’을 신설하여 기업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고 해결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외국 기업의 국내 공장 설립 시 최우선 사업으로 분류하여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 10대 신기술 국가전략 프로젝트 지정: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10대 신기술을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패스트 트랙’을 적용하여 산업을 국가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및 연구 환경 개선: 과학기술 연구개발 관련 예산과 조직을 총괄하는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하고, 연구원의 정년을 65세까지 회복시키며, PBS 제도를 폐지 또는 전면 개편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GTX 전국 확대: 대형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인 GTX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건설, 토목, 철강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
  • 원자력발전 확대: 원전 발전 비중을 현재 32.5%에서 60%까지 늘리고, 석탄 비중은 29.4%에서 0%로 낮추며,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를 앞당기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 가상자산 활성화: 국민연금, 한국투자공사(KIC) 등 정부기관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 가상자산 ETF 상품 거래 승인,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직접투자 제한 폐지 등을 통해 가상자산을 자산으로서 제도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K자본시장 선진화: 대통령의 해외 투자자 대상 IR 최초 시행, 상장사 중심 거버넌스 선진화, 배당소득세 폐지, 경제사범 처벌 강화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시행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정치·사법·선거 제도 개혁 (‘3+1 개혁’)

  • 정치 개혁: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국회 추천 헌법재판관 의결정족수 2/3로 강화 등을 통해 정치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사법 개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폐지, 사법방해죄 신설 등을 통해 사법 개혁을 실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선거 제도 개혁: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감사원 감사 허용, 외국인 투표권 상호주의 적용, 사전투표 폐지 및 본투표 이틀간 실시 등을 통해 선거 제도를 개혁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안보 강화: 형법상 간첩의 정의를 ‘적국’에서 ‘외국’으로 확대 적용하고, 대공 수사권을 국가정보원에 환원하여 국가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총평

  • 이재명 후보복지, 지역 균형, 산업 육성을 아우르는 생활 밀착형 실용주의를 강조하며, 성장과 분배의 균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김문수 후보기업 성장과 국가 시스템 개혁에 중점을 두며, 친기업 정책, 과학기술 중심 국가전략, 그리고 강경한 안보·정치 개혁 노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두 후보의 대통령 선거 공약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투표 결정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