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브루탈리즘(Brutalism) 개념 특징 예시

브루탈리즘(Brutalism) 개념 특징 예시

브루탈리즘(Brutalism) 개념 특징 예시

브루탈리즘(Brutalism) 개념 특징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브루탈리즘은 프랑스어로 그대로 내버려둔 콘크리트란 뜻입니다. 말 그대로 콘크리트 질감을 그대로 살린 건축물을 말합니다. 차가운 느낌을 주는 반면 가공하지 않은 자연미를 그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를 받습니다. 오늘날에도 브루탈리즘 영향을 받은 건물이 지속적으로 지어지고 있습니다.

 

브루탈리즘이란?

  • 브루탈리즘(Brutalism)은 20세기 중반에 유행한 건축 양식입니다.
  •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특히 인기를 끌었습니다.
  • ‘브루탈리즘’이라는 이름은 ‘가공하지 않은 콘크리트’라는 뜻의 프랑스어 ‘베통 브뤼'(béton bru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이 건축 양식의 가장 큰 특징은 콘크리트, 벽돌, 철골 등의 재료를 가공하지 않은 그대로 노출시켜 건물의 구조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브루탈리즘의 특징

  • 재료의 직접적인 표현: 콘크리트, 벽돌, 철골 등의 재료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재료 본연의 질감을 드러냅니다.
  • 구조의 강조: 건물의 구조를 명확하게 드러내어 기능과 형태가 일치함을 추구합니다.
  • 거대한 규모와 단순한 형태: 웅장하고 단순한 형태의 건물이 많으며, 반복적인 요소들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강렬함을 줍니다.
  • 기능주의: 장식적인 요소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을 중시하며, 실용적인 공간 구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 차가운 미학: 노출된 콘크리트의 차가운 질감과 웅장한 규모는 때로는 차갑고 비판적인 인상을 주기도 합니다.

 

브루탈리즘의 대표적인 건축물

브루탈리즘(Brutalism) 개념 특징 예시
유니테 다비타시옹

 

르 코르뷔지에의 유니테 다비타시옹 (프랑스 마르세유): 브루탈리즘의 선구자로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의 대표작으로, 노출 콘크리트와 모듈러 시스템을 사용하여 대규모 주거 단지를 건설했습니다.

바비칸 센터

 

런던의 바비칸 센터 (영국 런던): 주거, 문화, 상업 시설을 갖춘 복합 단지로,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과 넓은 광장이 특징입니다.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서울): 한국의 전통 건축 요소와 브루탈리즘 양식을 조화롭게 결합한 건축물입니다.

 

브루탈리즘에 대한 평가

브루탈리즘은 그 독특한 미학으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는 건축 양식입니다. 재료의 질감을 그대로 드러내는 솔직함과 웅장한 스케일은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차갑고 획일적인 인상을 준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콘크리트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브루탈리즘의 영향

브루탈리즘은 197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점차 쇠퇴했지만, 현대 건축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습니다. 특히, 미니멀리즘 건축과 해체주의 건축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도 브루탈리즘의 요소를 담고 있는 건축물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브루탈리즘 건축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건축물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답글 남기기